수배전설비 안전관리 인입배선
1. 가공전선로 안전관리
ⓐ 특고압 가공인입선의 높이가 적정한지 확인한다.
- 22.9KV 전로의 경우 전선의 지표상의 높이는 5m이상
- 도로를 횡단하는 경우는 6m이상
- 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4m이상
ⓑ 특고압 가공전선이 건조물이나 수목의 이격거리가 적정한지 확인한다.
- 건조물의 상부 조영재와는 2.5m이상 이격
- 옆쪽 또는 아래쪽과 기타 조영재와는 1m이상 이격
- 식물과는 접촉하지 않게 이격
ⓒ 위험표지판 부착 여부를 확인한다.
ⓓ 지지물의 손상여부, 애자의 오손 또는 손상 여부 및 완금의 부착상태 등을 확인한다.
※ 가공전선과의 이격거리 20cm이상
2. 지중전선로
ⓐ 케이블 단말, 외피, 접속개소의 손상, 곡률반경(외경 6배이상) 스트레스 여부를 확인한다.
ⓑ 특고압 케이블의 옥내부분 또는 손상의 위험이 있는 부분은 덕트 및 기타 견고한 방호장치에 넣어 시설되어 있는 지 확인한다.
ⓒ 케이블 및 케이블 방호관 등의 금속제 부분에 접지공사의 실시를 확인한다.
ⓓ 케이블은 차량 또는 기타 중량물의 압력으로부터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포설 되었는 지와 지중함 등은 내부에 물이
고일 우려가 없는지 확인한다.
ⓔ 맨홀의 배관을 통한 옥내에 빗물 유입으로 사고가 없을 것인지 확인한다.
ⓕ 이격 거리를 확인한다.
- 옥내 특고배선과 저압배선 이격거리 60cm
- 옥내전선로와 전화선로 이격거리 60cm
- 특고가공전선과 지지물(완금류, 지주, 지선 등) 20cm
- 특고가공전선과 건조물의 접근
특고압절연전선 상부2.5m, 측면1.5m, 케이블 상부1.2m, 측면0.5m
- 큐비클 내 특고케이블과 저압케이블 20cm 내화격벽 사용 시 이격거리 감소
- CP 주에서 인입케이블 저압, 약전류전선 50cm
- 알루미늄전선과 동선의 전용접속재 사용을 확인한다.(미사용 화학적 부식 발생)
- 약전선류과 고압의 경우 30cm 이격거리, 특고압의 경우 60cm 이하, 가스관 등과 의장 1m이하, 교차 시에는 30cm
이격거리 확인
ⓖ 케이블의 시험은 1,000V 절연저항계로 측정 시 500MΩ 이하 시 보수를 검토한다. (측정시 VD(전압표시기)가 있을
경우 분리후에 측정한다.)
<고압 CV 케이블의 절연 저항 판정 기준(5,000V 절연 저항계)>
구 분 | 측정 전압(V) | 절연 저항치(MΩ) | 판정 기준 |
절연체 (도체와 대지) |
5,000 | 5,000 이상 | 적 합 |
500 이상 ~ 5,000 미만 | 요 주 의 | ||
500 미만 | 부 적 합 | ||
금속 차폐층 (시즈와 대지) |
500 또는 250 | 1 이상 | 적 합 |
1 미만 | 부 적 합 |
- 인입케이블 사용중 점검 : DC 내전압 시험전압 30K, 사용전검사 45KV
- 최종시험전압에서 누설전류 10uA/km이상 시 상간 불평형률 200%이상, 성극비 1미만 요주의
성극비 = 10분후 절연저항/1분후 절연저항 = 1분후 누설전류/10분후 누설전류
ⓗ 예비케이블은 3선을 단락하여 접지 및 보호상태 점검 확인한다.
ⓘ 케이블의 상별 색상표시가 적정한지 점검
ⓙ 케이블이 매설된 장소의 흙과 맨홀 등의 침몰여부를 점검
3. 인입선 선정
ⓐ 인입 케이블의 선정
- CN/CV-W, TR-CN/CV-W : 물기가 있고 화재위험이 없는 인입구 배선
- FR-CN/CO-W : 전력구, 공동구, 덕트, 건물구내 등 화재의 우려가 있는 장소
ⓑ 가공인입(22.9kv : ACSR-OC 58㎟, 95㎟, 160㎟)
ⓒ 지중인입(22.9kv : CN/CV-W, FR CNCO-W 60㎟, 100㎟, 150㎟, 200㎟, 250㎟)
4. 수변전실 점검
ⓐ 출입구에는 출입금지 표시와 잠금장치 등이 시설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옥외 수전실 울타리 충전부 이격거리 확인
(수평 + 수직거리) > 5m이상, 울타리하단 15cm이하
ⓒ 수변전실과 예비발전기실의 환기 적정성 확인
ⓓ 옥외 수변전실 소동물 침입 확인
ⓔ 옥내 수변전실 접지단자반 물 침투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