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적외선 열화상 측정의 이해
1) 적외선 열화상 측정의 목적
- 전력설비의 사고 원인이 되는 발열부 이상 온도 조기발견(대처)
- 절연불량에 의한 열화의 진행 및 내용 분석
- 접속불량에 의한 발열 여부 확인
- 과부하에 의한 이상 발열 여부 확인
- 기기 내부의 이상상태에 의한 외부 발열 확인
- 기기전체의 열화상 또는 주변 은폐 기기의 국부 발열 확인
2) 열화상카메라 측정원리
- 비접촉식으로 대상 물체의 온도분포를 보여주는 장비
- 물체의 표면온도에 따라 방출되는 적외선이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
- 적외선으로부터 감지되는 주파수 반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
- 실제 볼 수 있는 이미지로 형상화
※ 적외선 온도계는 레이저 조준점 주변의 평균온도가 측정되며, 거리가 멀수록 넓은 면적의 평균온도가 측정
되므로 정확도가 떨어짐
3) 열화상카메라 측정의 활용범위
- 수전설비 및 구내배전설비 발열 측정
- 고압기기, 개폐기 접촉부의 이상 발열 측정
- 피뢰기 내부 열화 측정
- 콘덴서 발열 측정
- 케이블 터미널 압착 불량 측정
- 배, 분전반 볼트 조임 불량에 의한 발열 측정
- 천정, 바닥, 벽면 및 조명기구의 발열 측정
- 과부하에 의한 발열 측정
2. 열화상카메라 측정 온도 판정 방법
1) 3상 비교법
- 동일 조건의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판별
- 측정점의 정확한 온도 보다는 비교하고자 하는 측정점 간의 온도차로 발열을 진단
온 도 차 | 판 정 기 준 |
5℃ 미만 | 정 상 |
5℃ ~ 10℃ 미만 | 요 주 의 |
10℃ 이상 | 이 상 |
※ 온도차 : 최고치와 처저치의 차이
2) 온도 패턴법
- 측정 당시의 부하율, 주위온도 등을 고려하여 측정
- 최고 허용온도를 초과하거나 온도 상승한도를 초과한 경우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
전 력 기 기 | 온도상승 한도초과 시 (요주의) |
최고허용 온도 | 비 고 | |
유입변압기(본체) | 50℃ | 90℃ | KSC4306(유온기준) | |
건식 변압기 | 에폭시부(B종) | 80℃ | 130℃ | IEC 726 |
단로기 및 동 Bus Bar |
접 촉 부 | 25℃ | 65℃ | KSC4502에 의함 |
접 속 부 | 40℃ | 80℃ | ||
구조부분 (자기애자 등) |
50℃ | 90℃ | ||
전 선 | IV저넌, RB전선 | 60℃ | ||
CV, CNCV | 90℃ |
3) 열화상카메라 사용 시 주의사항
○ 물체의 종류 및 표면상태에 따라 적외선 방사율의 차이
-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물체의 겉보기 온도와 실제온도가 차이 발생
항목 | 방사율 | 항목 | 방사율 |
알루미늄 | 0.30 | 플라스틱 | 0.95 |
철 | 0.70 | 고무 | 0.95 |
구리 | 0.95 | 강철 | 0.80 |
※ 아크릴 보호커버의 경우 적외선 투과 불과(보호커버 제거 후 촬영)
- 외부에서 촬영 시 그늘진 곳에서나 야간에 촬영(햇빛 반사의 영향 고려)
- 활선상태이므로 고압모선 또는 충전부 주변 안전거리 유지
3. 적외선 열화상카메라 측정
㉠ 유입변압기 측정
- 유입변압기는 대류현상에 의해서 상단부가 하단부보다 수℃에서 10℃ 이상까지 온도차이 발생
- 애자부싱 부위, 외함 온도 분포 측정, 내부 Oil 온도 측정
㉡ 리액터 측정
- 권선 및 철심부분의 발열 여부를 측정하고 접속단자 부분의 발열을 측정
- 콘덴서용 직렬리액터는 전류가 상시 흐르고 있음
- 3상리액터의 가운데 코일은 양쪽 코일보다 열방출 단면적이 적으므로 온도가 약간 높게 측정되는 경우도 있음
㉢ 주상변압기 측정
- 해당 변압기의 부하상태를 확인해서 과부하로 인한 발열 등을 종합적으로 판정
㉣ 배선용차단기 측정
- 단자부분의 접촉불량 또는 배선용 차단기에 연결된 단상부하의 영향으로 한 상이 과열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판정
㉤ 분기 차단기 배선 측정
- 동일한 굵기의 전선에서 sp1과 sp3의 온도가 10℃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부하전류를 확인(3상 비교법)
- 단자대 부분에서 국소발열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볼트 조임 및 압착터미널 러그의 압착상태 불량을 확인
㉥ 변압기 애자 부분
- 변압기 부싱 및 접속부에서의 발열 : 동일한 조건 및 환경에서 어느 한 상만 온도가 높게 나타암
-> 저항에 의한 열이 발생한 것으로 추저, 국부부식에 의한 저항열 발생 간주
-> 나사 조임이 느슨하여 접촉불량에 의한 것으로 추정
㉦ 몰드 변압기 발열상태
- 몰드변압기는 경부하 또는 무부하 상태에서도 철심 상단부의 온도가 100℃ 이상까지 측정되는 경우가 있음
- 각 상의 안쪽코일이 저압부이고 바깥쪽코일이 고압부
- 저압코일이 고압코일보다 전류가 많이 흐름(열화상 촬영 시 내부 코일측에서 높은 온도가 관측)
㉧ 피뢰기
- 피뢰기 내부 열화가 진행될 경우 누설전류 증가로 발열이 발생할 수 있음
- 각 상의 피뢰기 접지선에 누설전류 및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피뢰기 열화유무를 확인
- 의심 대상 피뢰기가 부적합으로 판정되면 3상 모두 교체
㉨ 수전설비 부위별 열화상 측정
인입케이블 및 LBS측정 | 케이블 헤드 및 접속부, 각 상의 발열상태 등을 점검 |
파워퓨즈(PF) 점검 | 퓨즈링크 접속부 및 모선과 1차, 2차의 접속부 발열 점검 |
MOF 점검 | 단자대 접속부분에서의 국서발열 및 MOF의 발열등을 점검 |
PT 점검 | 단자대 접속부분의 국소발열 및 PT 의 발열 등을 점검 |
SA 및 CT 점검 | 단자대 부분의 국소발열 및 SA.CT의 각 상 발열을 점검 |
변압기 점검 | 변압기 부싱 및 단자대, 상별 발열 등을 점검 |
ACB 점검 | ACB 단자, 부스바 및 기기에서의 발열을 점검 |
습기 제거용 히터 점검 | 배전반 내 배선 및 기기 발열에 영향을 주는지 점검 |
MCCB 점검 | MCCB의 몸체, 단자대, 부스바 등의 발열을 점검 |
'전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배전설비 안전관리 인입배선 (0) | 2021.12.23 |
---|---|
전력 퓨즈(PF) (0) | 2021.12.16 |
발전기의 점검 (0) | 2021.12.15 |
변압기의 점검 (0) | 2021.12.15 |
특고압 전기설비의 점검 (0) | 2021.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