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전력퓨즈는 고압 및 특별고압 기기의 단락 보호용으로 주로 쓰이고 소호방식에 따라 한류형과 비한류형이 있다. 한 류형 퓨즈는 높은 아크 저항을 발생하고 사고 전류를 강제적으로 한류 억제시켜 차단하느 퓨즈인데(단락전류 최고치 에 달하지 않도록 억제하는 작용을 한류 작용이라 한다.) 밀폐 절연통 안에 퓨즈 엘리먼트와 규소 등의 소호재를 충전
밀폐한 구주로서 현재 수변전설비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2. 전력퓨즈의 기능
㉠ 부하전류를 안전하게 통전한다.
㉡ 일정치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르 보호한다.
㉢ 단락전류와 같은 큰 고장전류를 한류차단 한다.
㉣ 과도전류나 과부하 전류에서는 용단하지 않도록 선정한다.
3. 전력퓨즈의 정격
<한류형 전력 퓨즈의 정격>
정격전압 | 정격차단전류 | 최소차단전류 | 정격전류[A] |
3.6/7.2KV | 40KA | 5In | 5,10,20,30,40,50,63,75,100,125,160,200 |
24KV | 40KA | 5In | 5,10,16,20,25,30 ,40,50,63,75,100,125,160,200 |
<비한류형 전력 퓨즈의 정격>
정격전압 | 정격차단전류(Sym/ASym) | 정격전류[A] |
25.8KV | 12.5/20KA | 1,3,6,8,10,15,25,30,50,65,100,140,200,300 |
25KV | 20/32KA | 1,3,6,8,10,15,25,30,50,65,100,140,200,300,400 |
4. 전력 퓨즈의 선정
1) 선정시 고려사항
ⓐ 전부하 전류, 과부하, 과도 전류, 반복 부하에 대한 검토를 할 것.
ⓑ 기기, 회로와의 보호 협조(단락 전류에 의한 기기 손상의 보호, 전원측 및 부하측 보호기기와 동작 협조에 대한
검토 필요)
ⓒ 회로 또는 기기의 전부하 전류보다 큰 정격 전류값의 퓨즈를 선정
ⓓ 회로 또는 기기에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는 허용 과부하 전류 이내의 과부하 전류보다 퓨즈의 단시간 전류값이
클 것
ⓔ 전력 퓨즈의 차단 시간-전류 특성이 전류측 보호 기기의 동작 특성보다 빠르고, 또 전력 퓨즈의 단시간 허용
전류-시간 특성이 부하측 보호 기기의 차단 시간-전류 특성 보다 늦어지도록 선정
ⓕ 전력 퓨즈를 보호기기의 백업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전력 퓨즈의 최소 차단 전류 이하의 전류에서는 보호 기기
차단 시간-전류 특성이 전류 퓨즈의 단시간 허용 전류 특성보다 빨라지도록 선정
ⓖ 전력 퓨즈는 용도별로 검토가 필요하지만, 주변압기에 대한 퓨즈의 선정은 표를 참고하며, 부하의 상태나 주변압
기를 보호하는 측면에서 보면 자가용 설비에서 주변압기가 여유가 있으므로 전부하 전류를 검토하는 것도 필요
2) 정격 전압
ⓐ 3상 회로에서 사용 가능한 전압 한도를 표시
※ 정격 전압 = 공칭 전압 X 1.2/1.1 [V]
ⓑ 전력 퓨즈의 정격 전압은 선로의 계통이 접지, 비접지에 무관하고 계통 최대 선간 전압에 의해 선정
ⓒ 계통 최대 선간 전압이 전력 퓨즈의 최대 설계 전압보다 커서는 안된다.
<전력 퓨즈의 정격 전압>
계통 전압(공칭 전압) [KV] | 퓨즈 정격 | |
퓨즈 정격 전압[KV] | 최대 설계 전압[KV] | |
6.6 | 6.9 또는 7.5 | 8.25 |
13.2 | 15 | 15.5 |
22 또는 22.9 | 24(비한류 25.8) | 27(비한류) |
66 | 69 | 72.5 |
154 | 161 | 169 |
3) 정격 전류
ⓐ 전력 퓨즈가 온도 상승 한도를 넘지 않고 연속으로 흘려 보낼 수 있는 전류값이며, 실효값 [A]로 표시
ⓑ 전력 퓨즈의 정격 전류의 선정은 제작사의 권장값에 따라서 산정하는 것이 안전하다.
ⓒ 비한류형 전력퓨즈 선정
● 일반적으로 최대부하전류 X 1.5 범위의 표준값에서 선정
● 국내 판매하는 비한류형 전력퓨즈는 K Type 일반형이다.
ⓓ 한류형 전력퓨즈 선정
● 일반적으로 최대부하전류 X 2.0 범위의 표준값에서 선정
● 한류형은 사용목적에 따라서 변압기회로 보호용, 콘덴서회로 보호용, 전동기회로 보호용, 일반용 등으로 구분되
어 판매되므로 적정한 것을 선정한다.
● 한류형은 제작사의 권장값에 따라서 선정하는 것이 안전하다.
5. 전력 퓨즈의 안전관리
1) 전력퓨즈의 운용
ⓐ 전력 퓨즈는 한 번 용단되면 차단기와 같이 재투입할 수가 없으므로 자주 과부하를 차단하는 개소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변압기 돌입전류나 전동기 시동전류 등의 과도적 전류가 전력퓨즈의 용단 특성
ⓒ 단락고장의 경우에는 일단 전력 퓨즈가 단락전류를 차단한 후에는 1상만 용단되고 나머지 2상의 퓨즈가 끊어지
지 않고 남아있는 경우도 있지만 이것은 열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전체 상의 퓨즈를 교환한다.
ⓓ 퓨즈유니트는 동일제작업체 제품을 세트(set)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전력퓨즈의 점검 및 고장진단
ⓐ 전력퓨즈는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외관의 변색 및 손상여부, 지지애자의 균열 및 이물부착 여부, 접촉
부의 변색 및 아크 흔적, 퓨즈의 동작상태 및 단선 등을 평상시 점검
ⓑ 육안점검 뿐 아니라 활선상태에서 열화상 진단 등을 통하여 전력퓨즈의 열화상태 등을 점검하면 고장을 사전에
예방
ⓒ 비한류형 전력퓨즈는 유니트에서 전기적 접속이 불량하므로 부하전류가 증가하면 발열로 인하여 사고로 이어지
므로 열화상 측정시에는 온도차를 확인하여 이상 유무를 판정하여야 한다.
ⓓ 충전부에 사람이 쉽게 접촉될 위험은 없는지와 건조물 등과의 이격거리가 충분한지 확인
ⓔ 퓨즈홀더의 조작이 용이하게 설치되어 있는지 또한 스위치 본체의 센타 브라켓과 금구(앵글 등)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마운팅 브라켓의 접속상태가 적정한지 확인
ⓕ 전력퓨즈 동작시에는 교체전에 지지애자의 균열 및 타설비에 접촉여부 확인
'전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배전설비 안전관리 인입배선 (0) | 2021.12.23 |
---|---|
적외선 열화상 측정 (0) | 2021.12.15 |
발전기의 점검 (0) | 2021.12.15 |
변압기의 점검 (0) | 2021.12.15 |
특고압 전기설비의 점검 (0) | 2021.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