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1)
누설전류의 측정 1. 누설전류의 측정 목적 - 무정전 상태에서 수시로 선로 및 기기의 누설전류 관리 - 정전이 어려워 절연저항 측정이 곤란한 경우 - 누전으로 인한 감전 및 전기화재의 예방 - 전기기기의 건전성과 경년 변화의 확인 2. 누설전류의 의미 - 정해진 전로 이외의 경로로 흐르는 모든 전류 - 전로의 절연체 내부 및 표면과 공간을 통하여 선간 또는 대지로 흐르는 전류 3. 누설전류의 발생 원인 - 선로 또는 기기의 절연이 저하된 경우 - 선로가 긴 경우 선로와 대지간 정전용량 - 전자기기 노이즈필터의 C성분 - 중성선 다중접지에 의한 불평형부하전류 및 유도성 순환전류 - 부하측에서 중성선과 접지선이 바뀐 경우 4. 누설전류계 종류 4CT 누설전류계 플렉시블 누설전류계 클램프식 누설전류계(소) 클램프식 누설전류계..
저압 전기설비의 점검 1. 절연저항의 측정 1) 절연저항 측정 목적 - 감전사고 예방 - 전기화재의 예방 - 전기기의 건전성 확인 - 전기재해의 예측 2) 절연저항의 의미 - 절연물로 보호된 전기기기나 배선에 uA ~ mA 정도의 전류 누설 - 저항값(MΩ)의 단위로 표현 - 일반적으로 저항값(MΩ)이 클수록 안전한 설비 3) 절연저항계 종류 - 발전기식 절연저항계 -> 핸들을 돌려 전압 발생 - 아날로그식 절연저항계 -> 전자회로에서 건전지 전압을 DC고전압으로 승압 - 디지털방식 절연저항계 -> 아날로그식과 작동 원리 동일 4) 측정전압에 따른 분류 25V, 50V용 통신회로 측정 100V, 125V, 150V용 통신회로, 110V 전자기기 전원회로 측정 250V용 220V 전자기기 전원회로 측정 500V용 저압 전기회로..
전기설비의 점검 1) 전기 설비의 점검 내용 1. 전기설비의 점검 목적 - 점검 : 육안 또는 장비 등을 활용하여 확인,측정하는 등의 활동으로써 일상점검, 정기점검, 공사 중 점검 등을 말한다. - 점검목적 : 전기설비의 안정성 확보 및 사고예방 - 일상점검 : 전기설비의 외관점검, 작동점검, 기능점검 등을 실시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시 점검 하는 것 2. 전기설비의 점검 활용 - 전기재해 예방 및 발생 시 응급조치 활용 - 유지 관리 및 증설계획 시 고려 - 전기설비의 효과적 점검 및 관리를 위한 자료 - 과부하 및 합선 기타 사고에 의한 화재사고 예방 - 누전으로 인한 감전사고 사전 예방 - 전기설비사고에 의한 정전사고 사전 예방 3. 전기설비 점검의 분류 - 일상점검 : 설비의 외관점검, 작동점검, 기..

반응형